chap02. 운영체제
파일시스템
os는 파일 시스템을 통해 파일(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정보의 모음)을 관리
데이터와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해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구조
내부적으로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가 block단위로 관리됨
특정 block 모음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추상적(논리적) 객체 개념인 파일이라고 이름 붙임
필요한 이유?
저장장치에 데이터가 삭제, 추가 될 때 작은 간격이 발생하고 이 틈에 새 데이터가 저장됨
일정 간격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지 않으면, 작은 틈이 파일의 요구 공간보다 더 클경우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기 어려움
Unix, Linux 운영체제 열 운영체제는 indoe방식의 파일 시스템 사용
- super block: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파티션 정보를 가진 블록
- inode block : 각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를 가진 블록
- data block: 실제 파일의 데이터를 가진 블록
파일은 고유한 indoe값을 가지면 해당 inode 값을 기반으로 한 블록 단위로 관리됨
각 blobk의 크기는 4kb로 제한
direct block과 indirect block으로 구분
indirect block에는 블록을 간접적으로 가리키는 주소들이 담겨있음
각 파일은 폴더 단위로 관리됨
각각의 폴더들은 direct entries를 통해 연결되어 있음
chap03 서버
1) 서버
서버: 누군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자체를 의미함. 소프트웨어적으로 개발된 것이 서버에서 제공됨
-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서버는 여러 개 L4이용해서 로드밸런싱)
- 클라이언트: 서버와 이어진 기기, 컴퓨터, 모바일
- 서비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응답을 내려주고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음
2) 스토리지
서버에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만 동작을 하고 실제 파일 및 데이터는 별도의 공간에 저장
(* 클라우드 핵심정보, 보안 관련 올리기 어려워)
- 웹서버
- 도메인서버
- 이미지서버
- 이메일서버
- DB서버
- 미디어서버
DAS(Direct Attached Storage)
초창기 구조로 서버와 스토리지가 연결되고 스토리지상에 파일시스템 영역을 할당
속도가 빠르고 연결이 간단
하드웨어 포트수가 제한되어 확장성이 부족함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유 스토리지 개념
LAN으로 연결되어 연결이 용이하며 확장성이 높음.
네트워크 자체문제 시 스토리지 장애 발생가능하며 DAS에 비해 느림
SAN(Storage Area Network)
고가 주로 DB서버에 사용
전용 케이블로 물리적 연결을 하고 네트워크 망을 활용
스토리지-서버 SAN, 서버--클라이언트 LAN연결
속도가 빠르나 전용 SAN스위치가 필요하며 운영체제가 다른면 환경파일 공유 불가
chap04 데이터베이스
1) 데이터베이스
파일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탄생
다수의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유
데이터를 하나로 모아 관리 가능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 제공
실시간 접근 가능,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공용, 끊임없는 동적 변화
과거데이터를 쌓아, 시계열 분석 가능
2) 데이터베이스 언어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생성, 수정, 삭제하는 등의 데이터의 전체의 골격을 결정
: Create, Alter, Truncate, Drop, Describe, Rename
DML(Data Manipulation Langauge)
정의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레코드를 조회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역할
: Insert, Update, Delete, Select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거나 객체에 권한을 주는 등의 역할
: Grant, Revoke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트랜잭션을 제어할 때 사용 논리적 작업단위를 묶어 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트랜잭션 별로 제어
: Savepoint, Rollback, Commit
NoSQL
문서데이베이스
'study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0) | 2024.05.08 |
---|